3-1) 파티션과 파티션 테이블
Last updated
Last updated
FTK Imager 도구
HxD 도구 :
저장 매체에서 구역을 나눠서 파일시스템을 저장하는 곳으로 간단히 하나의 하드디스크 또는 USB와 같은 저장매체에 두 개의 드라이브로 나누는 공간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C 드라이브, E 드라이브로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MBR (Master Boot Record)
저장 매체의 가장 처음 0번 섹터에 위치합니다.
FTK Imager에서 Add Evidence Item 선택 후 Phisycal Drive 후 본인 PC의 드라이브를 선택해보도록 합시다. (아무거나)
아래와 같이 Partition 1 이 보일 경우 MBR 파티션 엔트리 구조입니다.
View - Properties 를 선택 후 파티션을 누르면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작 섹터 번호 - 전체 섹터 수
0번 섹터를 살펴보면 하단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위치합니다. 이 부분을 해석하면 위에서 Properties가 보여준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작 섹터: 00 08 00 00(리틀엔디안) -> 00 00 08 00(16진수) => 2,048 (10진수) - 전체 섹터 수: 00 78 E0 E8(리틀엔디안) -> E8 E0 78 00(16진수) => 3,907,024,896(10진수)
위에 계산 방법을 수동으로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잘 알고 있으면 좋겠지만, 최근에는 중요도, 배점등이 매우 낮아졌기 때문에 도구가 보여주는 값의 의미만 정확히 알고 있으면 됩니다.
답안 작성 시에도 시간이 충분하다면 이 부분을 분석해서 표시해 주는 것도 좋겠지만, 사실 최근 시험 합격 여부는 뒤의 분석 문제 해결이 더 중요하기에 시간이 남을 때 해당 부분을 작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GPT(GUID Partition Table)
FTK Imager에서 Add Evidence Item 선택 후 Phisycal Drive 후 본인 PC의 드라이브를 선택해보도록 합시다. (아무거나)
아래와 같이 GPT가 표시될 경우 GPT 파티션 구조입니다.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결론적으로 중요한 부분은 파티션 별로 시작 섹터 번호, 전체 섹터 수 입니다. 이미 FTK Imager가 분석을 해주고 있습니다.
GTP 헤더, 파티션 엔트리의 경우 훼손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백업본도 있기 때문에 복원해야 하는 문제도 출제될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는 출제 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다른 분석이 충분히 익숙해진 뒤에 시간이 있을 경우 연습해 보도록 합시다. 반면 GPT 파티션은 정상이나, GPT 파티션 내의 파일시스템 복구는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
GPT 헤더 복구, 파티션엔트리 복구와 GPT 파티션에 있는 파일시스템 복구는 엄연히 다르니 구분하여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 3-1.1) GPT 헤더, 파티션 Entry 복구
MBR 분석에 대해 조금 더 제대로 파악하고자 할 경우 > 3-1) MBR 파티션 테이블 구조
MBR 분석에 대해 조금 더 제대로 파악하고자 할 경우 > 3-2) GPT(GUID Partition Table) 구조
아래와 같이 Partition 번호가 없고, GPT가 없음에도 바로 파일시스템(FAT32, NTFS) 이 보이는 경우는 파티션이 없는 저장매체 입니다. USB의 경우 사실 파티션이 필요 없이 전체가 저장매체여도 충분히 그 기능을 하기 때문에 파티션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