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실전 연습 - 분석해보기(EnCase)
Last updated
Last updated
에서 진행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가상디스크로 연습에는 큰 의미는 없으나 연습을 위해서 한번 옵션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nCase의 Tools - FastBlock SE...을 선택 하여봅시다.
먼저 Write Protected, 또는 Write Blocked 를 선택 한 뒤 게이지가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서 USB를 연결하면 Write Protected, 또는 Write Blocked 에 표시가 되면서 쓰기방지가 설정됩니다.
이제 문제 저장매체(가상디스크)를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USB를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것 입니다.) 가상디스크로 연결 할 경우 디스크 관리(Win+X - 디스크 관리)에서 동작 - VHD 연결에서 읽기 전용을 체크 한 뒤 가상디스크 파일을 선택합니다.
가상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연결 된 경우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상디스크 또는 USB를 연결한 경우 아래와 같이 포맷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 표시된다면 정상 인식 된 것입니다.
이제부터 사본 이미지 획득을 진행 합니다.
파티션1을 살펴보니 시작 섹터는 비어 있으나 마지막 섹터로 가보니 NTFS의 VBR 복사본이 위치합니다. 즉, 파일시스템이 훼손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RAW 로 이미지 획득을 진행합니다.
추가적으로 파티션 1의 경우 정상이며 파티션2가 훼손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파티션2의 시작 섹터가 204,928, VBR 복사본이 204,934 섹터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리 드라이브 최상위 우클릭 - Export Disk Image (꼭 최상위를 선택해야 저장매체의 전체 사본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만 고를 경우 파티션만 획득됩니다.)
또는 File - Create Disk Image - Physical Drive 를 선택합니다. (완전히 동일한 기능으로 원하는 걸로 하시면 됩니다.)
Add 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 파일 종류, 저장할 경로, 분할 사이즈를 선택합니다.
분할 사이즈(Image Fragment Size)는 0으로 설정합니다. -> raw 이미지 파일이 1개로 나오며 0번부터 마지막 섹터까지 연결되어 복구가 용이합니다.
raw 이미지 획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001 파일이 생성되며, .txt로 로그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 로그 파일에서 실제 시험에서 답안 작성 또는 분석 보고서에 활용할 원본 저장매체의 해시값, 드라이브 시리얼 넘버 등이 나옵니다. 아쉽게도 가상디스크의 경우 시리얼 넘버가 없습니다.
다만 실제 시험에서 USB로 획득한 경우 USB의 시리얼 넘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답안 작성 연습을 위해 아래의 정보가 log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진행합시다. [Physical Drive Information] - Drive Model: SanDisk Cruzer Blade USB Device - Drive Serial Number: 4C530001040725104371 - Source data size: 200 MB - Sector count: 409600
파일시스템 복구에 필요한 것은 위에서 이미 확인 하였으나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파티션 2번 위치로 이동하였는데 섹터의 앞부분이 훼손되어 있습니다. 사실 NTFS, FAT32 파일시스템에서 앞 부분이 가장 중요한 값이 저장됩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 섹터에 RRaA가 보입니다. 보통 이 경우는 FAT 파일시스템에 해당합니다. (RRaA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FAT32 파일시스템의 VBR 복사본은 파티션 시작 +6번 섹터에 위치합니다.
가장 밑에 섹터를 보면 비어 있습니다. 즉 NTFS가 아닌 것입니다. 파티션2 시작 섹터 +6번 섹터를 확인해보면 FAT32 VBR의 복사본이 위치합니다.
파티션 시작 섹터 204,928, VBR 복사본이 204,934 즉, 204,934 섹터를 204,928번 섹터에 덮어써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파일시스템 복구는 HxD를 이용하여 Raw 이미지를 복구합니다. 도구 - 디스크 이미지 열기로 Raw 이미지를 열고 VBR 복사본이 위치한 섹터(204,934)로 이동 후 한 섹터를 복사합니다.
204,928번 섹터가 파티션2 시작 위치며 정상 VBR이 위치해야 합니다. 이 섹터에 가장 앞부분에서 우클릭 -[붙여넣기 쓰기] 하여 덮어씁니다. * 삽입을 하게 되면 1섹터가 전체적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삽입하면 안됩니다.
FTK Imager를 이용하여 복원한 이미지를 불러오면 정상적으로 파일 구조가 확인되면 복구는 정상적으로 진행한 것입니다.
EnCase에서 케이스 생성 후 복구한 Raw 이미지를 추가합니다. Add Evidence - Raw Image를 선택 한 뒤 복구한 파일시스템을 선택합니다.
이 후 1차 프로세싱(Processor)을 진행합니다. 비교적 빨리 끝나며 기존에 주로 출제되는 문제 유형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프로세스 옵션을 선택 후 진행합니다. - File Signature analysis - Hash Anlysis - Find email - Find Internet Artifacts - System info Parser - Windows Event Log Parser - Windows Artifact Parser
View - Processor Manager, 우측 하단에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이 동안 해결 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답안 작성 준비를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Evidence 의 우클릭 또는 Refresh를 클릭하여 프로세싱 처리 내역을 적용합니다.
증거물 사본을 생성하고 각 문제 항목의 답안을 작성하시오.
USB 증거 사본을 생성하는 과정과 결과를 단계별로 기술하시오.
파일시스템이 훼손되어 있다. 이를 복구하고, 복구한 파일시스템의 정보 중 아래 항목을 찾아 기술하시오.
가) 파일 시스템 종류 나) 총 섹터 수 / 전체용량 / 가용용량 다) 볼륨 시리얼 번호 라) 단위 클러스터 크기
시나리오와 상관 없이 기본 분석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증거 사본에서 다음 각 항목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찾고, 각 항목의 답안을 작성하시오.
MD5 값이 d1d3a12062725e2881fe1fa9fe32c638 인 파일을 찾고 파일의 파일명, 크기, 시간 정보를 구하라.
각 파일시스템이 생성된 시간 또는 생성된 시간으로 가장 적절해 보이는 시간을 구하라.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hwp” 파일의 내부구조를 확인하고, 지은이 (Author)를 파악하라.
시나리오와 관련 있는 분석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안티포렌식 기법이 적용된 파일들을 분석하고, 시나리오에서 요구하는 주요 증거들을 찾아라.
보상 받기로 한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는 무엇인가?
문제지에서 요구하는 형식에 맞춰서 답안 작성 문서 파일, 주요 증거 파일을 저장합니다.
참고로 시험 합격여부에 거의 영향은 없을 것이지만 증거제출용 USB에 먼저 문서파일, 폴더를 저장한 뒤에 맨 마지막에 FTK Imager에서 주요 증거파일을 USB 파일 저장 폴더에 바로 추출합니다. EnCase에서 우클릭 - Entries - Copy로 추출한 뒤 저장할 때 USB에 주요 증거파일 폴더에 추출하여도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