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Sqlite 열어보기
Last updated
Last updated
Sqlite 파일은 경량화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으로, 서버 없이 하나의 파일에 모든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실제로 많은 앱이나 프로그램에서 Sqlite를 많이 사용합니다.(특히 모바일은 더욱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꼭 한번은 분석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Sqlite 파일의 경우 기본 시그니처가 "SQLite format3"로 된 파일로 프로그램, 앱 등 다양한 곳에서 매우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해당 시그니처를 가진 파일을 발견한 경우 주요 분석 대상 프로그램의 속한 파일이라면 충분히 분석 할만한 대상이 됩니다.
먼저 Sqlite파일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다운 받아 보겠습니다. (시험장에서 제공하는 도구) [DB Browser for Sqlite] - 공식 사이트 : - 다운로드(64비트) : *SQLite Expert Professional 5.5.7 / Coral Creek Software → 삭제 >
앞에서 Autospy로 살펴봤던 Chrome 접속관련 기록을 Sqlite 분석도구를 이용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경로의 파일을 추출하여 봅시다.
Users/{사용자}/AppData/Local/Google/Chrome/User Data/Default/History
[DB Browser for Sqlite] 데이터베이스 열기를 선택 후 추출한 파일을 선택하여 열 수 있습니다. 확장자가 지원하지 않는 경우 모든 파일을 선택하면 열 수 있습니다.
테이블을 살펴보면 urls, downloads 등등을 살펴보면 주요 흔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티커 메모를 한번 연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래 경로의plum.sqlite 파일을 추출합시다. 추출 시 주의사항으로 sqlite 파일과 같이 ~shm, wal 파일이 있을 경우 같이 추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sqlite 용량이 용량이 작을 경우 같이 추출해야 정상적인 데이터베이스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추출 한 뒤 앞의 파일명 이 동일하게 수정해야 정상적으로 sqlite 파일이 열리게 됩니다.
[DB Browser for Sqlite] DB Browoser for Sqlite를 실행 한 뒤 데이터베이스 열기를 통해 sqlite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Autospy와 같이 테이블 선택이 가능하고, 내용 부분을 더블클릭 해서 상세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스티커 메모앱을 실행한 뒤 아무 텍스트나 입력 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