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파일시스템 기초 분석
1. 파일시스템과 파일시스템 기초 분석의 목표
1-1) 파일시스템 이란?
(ChatGPT 답변) 파일시스템(File System)은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와 규칙의 집합입니다.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직하고,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파일시스템이 존재하며, 각각의 파일시스템은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간단하게 그냥 파티션 분석 처럼 파일시스템별로 각자의 방식으로 약속을 해서 파일을 저장하고, 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 저장하고, 삭제 시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 약속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어찌됫건 우선은 실습을 통해 한번 친근해진 이후에 포렌식적인 관점을 가진 상태로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보면 좋을듯 합니다.
1-2) 파일시스템 기초 분석의 목표
디지털포렌식과 친해지기에서 파일 시스템 기초분석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가장 많이 쓰이는 파일 시스템 FAT32, NTFS, EXT4의 기본 분석 해보기 전체용량, 데이터 영역의 위치, 몇 가지 특성 등..
내가 저장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섹터를 HxD만 가지고 0번 섹터(MBR)부터 접근해서 추출해보기
내가 저장한 파일의 파일명이 무엇인지, 경로가 어디인지, 언제 생성했는지 파악해보기
간단한 탐색기 만들어보기! (물리적으로 접근해서 섹터 번호를 읽어오는 방식으로.. 가능한 부분에서 데이터 복구 기능 추가)
디지털포렌식과 친해지기에서는 모든 속성, 영역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진 않을 것입니다!
이유는 오랜기간 파일시스템이 발전을 하면서 파일을 보다 잘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옵션들 많이 추가하였으나, 처음 디지털포렌식을 접근하거나 이제 막 친해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이 모든 것이 너무 과도하게 많은 양으로 접근하기에는 너무 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연구를 할만한 가치가 있는 부분도 여전히 존재 하는게 파일시스템 영역이기 때문에 포렌식 전반에 걸쳐 기본적인 큰 그림이 어느 정도 그려진 후에 파일시스템의 특정 속성들을 상세 분석하고, 필요하다면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포렌식 관점에서 분석 기법을 개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공유등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입니다.
2. 디지털포렌식에서 파일시스템의 관점
파일시스템은 파일을 저장하고, 삭제하고 관리하다보니, 파일의 내용이 혹은 파일이 생성된 시점등이 중요해지는 주요 증거가될 수 있는 디지털 포렌식에서는 매우 중요한 영역에 해당 합니다.
파일 구조를 알게 되면 파일이 삭제되고 반대로 복구 할 수 있는 접근법을 생각할 수 있고, 실제로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포렌식 도구에는 삭제된 파일 복구 하는 기능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포렌식 관점에서 같이 고민해볼 만한 포인트들이 있을 경우 수시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