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Python 을 이용한 개발 환경 구성
Last updated
Last updated
파이썬 다운로드 후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설치 할 때 "Add python.exe to PATH" 를 체크(cmd 명령창에서 바로 실행가능하게 하기 위한 용도)
python 명령어를 실행 하였을 때 파이썬 버전이 나오면 정상 설치 된 것입니다.
만약 python을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설치하였는데 위와 같이 파이썬 버전이 나오지 않거나, Python 설치 시 "Add python.exe to PATH"를 체크 하지 않을 경우 아래 환경변수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ython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파이썬 버전으로정상적으로 설치 확인 ctrl + Z 누르면 파이선 모드에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cmd 에서 LICENSE.TXT , NEWS.TXT를 입력하면 파일이 열리는데 이는 환경변수로 지정한 폴더의 파일이 열리는 것입니다. 환경변수 PATH 로 지정한 경로는 어느 경로에서든 해당 폴더의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즉, python 실행되는 것은 환경변수로 지정한 경로에 있는 python.exe가 실행되는 것입니다. (폴더는 안되더라구요!)
추가로 cmd에서 notepad를 입력하면 메모장이 열리는데 메모장은 실제로 C:\Windows\system32에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은 이미 환경변수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어디서든 불러 올 수 있습니다.
Win+R 에서 실행하는 것이나 cmd 창에서 하는 것이나 동일한데, 추후에 여러분들이 어떠한 실행 파일을 명령어로 쓰고 싶으면 환경변수를 잘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먼저 바탕화면에 "test"라는 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위의 주소를 복사하도록 합시다.
cmd 창을 연 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시다. > cd C:\Users\{사용자}\Desktop\test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을 때는 cmd 창에서 우클릭(또는 Ctrl +V) 하면 붙여넣기가 된다. cd 는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만약 드라이브를 변경할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cd 명령어가 아닌 "드라이브명 :" 로 변경 가능합니다. > d: (D드라이로 변경)
해당 경로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봅시다.
위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명령어를 실행한 경로에 해당 파일이 생성이 된다. 메모장 또는 텍스트 편집기 등으로 열면 내용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아래와 같이 메모장에 파이썬 소스 코드 작성 후 파일형식을 모든 파일로 선택 후 test.py 로 저장합니다.
해당 폴더에서 dir 명령어를 통해 해당 디렉토리에 생긴 목록을 살펴봅시다.
이제 python 명령어를 이용하여 해당 파이썬 소스를 실행하여 봅시다. > python test.py
test.py를 수정 해서 다시 실행합시다. 메모장 등으로 test.py를 열어서 print(1+2) 소스로 수정 후 저장 한 뒤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여 봅시다.
메모장에서 다른 확장자 파일 열때는 모든 파일로 설정해야 열립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매우 많으니 항상 [모든 파일] 부분을 살펴봅시다.
Win + R 입력 후 "cmd" 확인하여 프롬프트를 열어 봅시다. 실행창에서 cmd 치고 Ctrl + Shift + 엔터(또는 확인 클릭) 하면 관리자 모드로 열립니다. 분석도구 개발 중에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Win) 누르고 "cmd" 검색 후 명령 프롬프트를 찾아서 실행 합시다. 관리자 권한으로 열 수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사용합시다.
먼저 파이썬python.exe가 어디 있는지 모른다고 가정하고 아래와 같이 진행하겠습니다. Win + R 에서 실행 킨 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localappdata% 또는 C:\Users{사용자}\AppData\Local 경로에 접근합시다. 해당 경로에서 Programs - Python - Python xxx 폴더 확인
환경변수 추가를 위해 Win + R 에서 실행합니다. > sysdm.cpl
또는 win 키 누르고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을 검색합니다.
\ 를 키보드에서 못찾을 경우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키보드에서 찾아보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