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저장매체와 섹터 그리고 물리이미징
1. 저장매체
저장매체의 종류는 다양하게 있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hatGPT 한테 물어 봤더니 이렇게 알려주네요..) 블루레이니.. 뭐니 훨씬 많지만.. 특별히 중요하진 않습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하드 디스크는 회전하는 자기 디스크 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HDD는 용량이 크고 비교적 저렴하여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합니다.
SSD(Solid State Drive)
SSD는 기계 부품이 없는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HDD보다 빠른 데이터 액세스 속도와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하며, 최근 컴퓨터 및 노트북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소형 디지털 저장매체
USB 플래시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저장매체는 소형이고 휴대성이 용이하며,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외장 하드 드라이브
일반적으로 HDD 또는 SSD 기술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포터블한 저장 장치입니다. 보통 데이터 백업이나 이동성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저장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저장 장치입니다.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파일 공유, 데이터 백업 등에 사용됩니다.
2.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데이터
위 저장매체를 간단히 소개한 이유는 사실은 이것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저장매체에는 다양한 특성이 있긴 하겠으나 결론적으로 0과 1 을 나타내는 bit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저장매체는 bit를 빠르게 쓰고/읽고, 대용량일 수록 좋겠지만..
당연하게도 무한정 빠르고, 무한 용량을 가진 저장 매체는 없습니다. 현 상황에서 그나마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효율적인 속도에 효율적인 용량에 합당한 가격으로 형성된 다양한 저장매체가 있을것입니다.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총 용량은 저장 가능한 bit의 갯수 일 것입니다. 보통은 바이트 단위로 스팩을 표기하니 앞으로는 bit라는 용어보다는 실제로 많이 쓰이는 바이트, 섹터 단위를 사용하도록 해보죠!
3. 섹터(Sector)
사실 섹터의 어원은 HDD라는 원판에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조각난 영역인데 SSD, USB 등 원판과 상관없는 저장매체를 분석할 때에도 섹터라는 용어로 사용합니다. 실제로는 SSD와 같은 메모리 칩에서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영역은 블록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만, 그래도 이미 섹터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해서 그런지 포렌식 도구 등에서 저장매체에서 512Bytes 단위로 나눠서 저장하는 부분을 모두 섹터로 표시하는 용어로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하드디스크는 4KB(4,096바이트)를 1섹터 크기로 사용한다고 하네요. 그냥 섹터로 통일되서 많이 쓰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섹터는 저장매체에서 bit의 나열 중 512bytes(4,096 bit) 씩 나눈 영역으로 만약 저장매체가 2,048 bytes 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졌다면, 4개의 섹터로 구분할 것입니다. 0번 섹터 ~ 3번 섹터(총 4개의 섹터 512 X 4 = 2,048 bytes) 의미 합니다.
물론 섹터의 크기는 조절하기 나름이긴 대부분은 512 byte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하나의 섹터안에 다른 파일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는 잘 없을 것입니다. (추후에 용량이 더 커진다면 일반적인 섹터의 크기도 커질 수도 있겠지요..)
4. 저장매체의 복제와 물리이미징
4-1) 저장매체의 복제
디지털 저장매체를 원본은 그대로 두고 복사본으로 분석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저장매체에 처음부터 끝까지 (0번 섹터부터 끝 섹터까지) bit의 나열을 모두 그대로 복사하여 만들면 되지 않을까?
원본 저장매체의 0번 섹터부터 마지막 섹터까지 하나의 파일 형태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전체 저장매체를 그대로 파일 형태로 만드는 것(물리 이미징 Physical Imaging)
4-2) 물리 이미징(Physical Imaging)
물리 이미징은 디스크의 모든 섹터를 순서대로 복사하여 파일 형태로 만들게 됩니다. 파일 하나로 만들어 질 수도 있으나 용량이 매우 크다면 분할된 형태의 파일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논리 이미징도 있으나 논리 이미징은 파일시스템을 이해한 뒤에 이해해 봅시다.
Last updated